전체 글 663

[19-4 파이썬] 인스턴스(instance), 상태(state)

인스턴스란? 클래스라는 청사진에서 객체를 생성해내는데, 하나의 객체만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원하는 만큼 무한대로 생성할 수 있다. 이전에 예를 들었던 백종원과 그의 프랜차이즈 음식점을 생각해보자., 백종원은 FoodStore라는 클래스에서 홍콩반점, 새마을식당, 역전우동 객체를 생성해냈다. 이 모든 것이 FoodStore의 객체이긴 하나 이들은 완전히 독립적이다. 파이썬에서는 이 객체들을 "인스턴스(instance)"라고 부른다. 객체란? 기본 청사진은 같지만, 나중에는 파는 음식도 다르고, 오는 손님들도 다르고, 마치는 시간도 다르게 된다. 즉, 어느 순간 속성도 메소드도 달라진다. 파이썬에서는 이 사실을 "상태(state)"가 달라진다고 표현한다.

[19-3 파이썬] 드로잉팬 만들기(터틀 명령어 실습)

- 키보드를 누르면 앞, 뒤로 가거나 방향을 시계, 반시계 방향으로 바꾼다. - from turtle import Turtle, Screen nin = Turtle() # print(nin.heading() +20) screen = Screen() def move_forwards(): nin.forward(10) def move_backwards(): nin.forward(-10) def counter_clockwise(): nin.left(20) def clockwise(): nin.right(10) def left(): new_heading = nin.heading() +20 nin.setheading(new_heading) def right(): new_heading = nin.heading() -..

[19-2 파이썬] 터틀(turtle) 모듈에서 이벤트 리스너(event listner)

예제와 함께 알고 싶은 분은 ---->> 클릭 이벤트리스너? 사용자가 '키보드의 특정 키를 누르기', '마우스로 클릭하기' 등의 동작을 했을 때 이런 이벤트를 들을 수 있는 수단. turtle에서 이벤트리스너는? listen(), onkey(), onkeyrelease(), onkeypress(), onclick(), onscreenclick(), ontimer(), mainloop(), done() 이 있다. listen() 키 이벤트를 수집하기 위해 귀를 기울인다. 사용자의 신호를 받으면 동작할 수 있게끔 한다. onkey(fun=fun, key=key) 키보드를 누를 때, funtion이 실행된다. onclick(fun, btn=1, add=None) btn 버튼= 기본값은 1(마우스 왼쪽버튼) a..

[19-1 파이썬] 함수를 인수로 사용할 때> 괄호 사용하지 X

함수() 함수의 형태를 생각해보자. 우리는 함수를 쓸 때, 함수 이름 끝에 ()괄호를 붙인다. 이 함수를 활성화하겠다는 뜻이다. len(), list(), tuple(), add() 등 우리가 아는 함수를 사용할 때를 떠올려 보면 거의 대부분 이런 형식이다. functon(argument1, argument2, argument3) 함수를 호출할 때는 위의 형태이다. 괄호 안에 인수(argument)를 넣어준다. 그런데, functon(argument1, argument2=함수) 위의 경우처럼 함수의 인수로, 함수가 들어올 때 예컨데, onkey(key=key, fun=fun)의 경우에는 함수에 괄호를 붙이지 않는다. 예시를 보기 위해, 먼저 onkey()에 대해 알아보자. turtle의 매서드 중 하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