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분석 16

Power BI Basic 시각화하기- 함수 사용하기

1. 날짜 서식 바꾸기 열 도구> 서식> short date 2. 새로운 테이블 만들기 기존의 일자는 빠진 날이 있다.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달력처럼 모든 날이 나오도록 데이터를 새로 만든다. 우선 새로운 테이블을 만든다. MyCal이라는 새로운 테이블에 CALENDAR을 만들고 MIN 최소값으로 출결현황의 일자를, MAX 값으로 출결현황의 일자를 넣는다. 그러면 달력형태로 연속적인 날짜로 데이터가 만들어진다. 관계 설정하고, 양방향으로 바꾼다. 3. 새로운 측정값 만들기 오늘 날짜를 만든다. 측정도구> 새측정값> 측정값=TODAY() 측정값 대신 오늘이라고 이름을 바꿔준다. 시각적 개체로 표현해보자. 새측정값으로 요일을 만들어보자. FORMAT(TODAY(), "aaa")&요일 4. 새로운 열 만..

Power BI Basic 시각화하기- 계층구조

목차 계층 구조 만들기 1. 계층구조 만들기 계층구조 만들 데이터(학년도) 옆에 점 세개를 클릭하여 계층 구조 만들기를 클릭한다. 2. 계층구조 추가하기 추가할 데이터(학년) 옆에 점 세개를 클릭하여 계층 구조 추가를 클릭한다. 아래와 같이 학년도 계층 구조 아래에 학기, 회차가 추가되었다. 3. 데이터 추가 X축에 학년도 계층 구조를 추가한다. 4. 드릴 다운 화살표 아래 버튼을 누르면 드릴 모드가 켜진다. 아래 화살표 두 개를 누르면 다음 계층 수준으로 이동한다. 위 화살표를 누르면 상위 계층으로 이동, 즉 드릴업 한다. 현재 계층 구조에서 한 수준 아래로 확장한다. 5. 다른 시각화개체 추가하기

Power BI Basic 시각화하기-파이차트(원형, 도넛형)

목차 파이차트(원형, 도넛형) 1) 데이터 넣기 값, 범례에 원하는 데이터를 넣는다. 2) 필터 걸기 너무 데이터가 많으니, 데이터를 해석하기 어렵다. 필터를 걸어보자. 필터 형식에 상위 N, 항목표시에는 개수를 넣는다. 값에는 원하는 값을 넣고 필터 적용을 누른다. 3) 서식 꾸미기 -서식복사 -범례지우고, 세부 정보 레이블 조정하기 -이름바꾸기 4) 다른 시각적 개체와 연결하기 같은 데이터 안에 있는 '학년도'와 연결한다. Q. 시험코드별 시험에 있는 학년도와 연결할 방법은 없을까? 관계를 맺고 있는 상황인데도, 왜 안될까?

Power BI Basic 시각화하기-꺾은선형 차트, 영역형 차트

목차 꺾은선형 차트 1) 데이터 넣기 X축, Y축에 해당 데이터를 넣는다. 아래로 펼침 버튼을 눌러서 합계에서 평균으로 바꾼다. 2) 데이터형 살피기 꺾은 선 그래프는 각각의 자료를 이어서 하나의 선을 만들어 그래프로 표현한다. 따라서 X,Y축에 놓이는 값이 이산적인 값인지, 연속적인 값인지를 체크해야 한다. 즉 같은 1, 4, 6라도 이것이 숫자로서 연속적인 값인지 텍스트이기에 각각 분리된 이름으로서 존재하는 값인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예컨데, 시험코드가 2101, 2102, 2201,2202, 2301, 2303가 있다고 하자. 이것은 연속적인 값일까? 아니면 텍스트로 존재하는 값일까? 이천백일이 아닌 이일공일이라는 텍스트로 존재하는 값이다. 따라서 데이터형을 문자열로 바꾼다. 왼쪽은 숫자형이고, 오..

[26-3 파이썬] 판다스 데이터 프레임 iterrows()

dictionary에서 for문을 돌려 key를 뽑아보자. 이번에는 딕셔너리에서 value를 뽑아보자. 다음으로는 판다스를 이용해서 데이터프레임을 만들어서 데이터를 뽑아보자. 판다스 데이터프레임에서 key를 뽑아보자. 앞선 결과와 큰 차이가 없다. 판다스 데이터프레임에서 value를 뽑아보자. friend key에서의 value, numbers key에서의 value 값을 순서대로 보여준다. 즉 key의 각 열 값을 순서대로 보여주는데, 데이터 처리에 특별히 쓸모가 있지 않다. iterrows() 그래서 사용하는 것이 iterrows()이다. iterrows()를 이용하면 데이터 프레임에 있는 각 행을 반복해서 보여준다. 각 행에는 인덱스, 값이 있다. index를 먼저 확인해보자. 다음으로 row를 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