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프투파이썬 42

[8-3 파이썬] 반올림, 올림, 버림, round(), int(), math 모듈, math.ceil(), True=1, False=0

1. 반올림 round() 함수를 쓴다. 2. 버림 int()함수를 쓴다. int()함수는 정수로 만들어주는 함수인데, 실수인 경우 소수점 아래를 삭제한다. 3. 올림 올림의 경우 위의 반올림이나 버림보다 조금 복잡하다. 두 가지로 방법을 소개한다. 첫번째는, math모듈을 이용하는 것이다. 파이썬은 모든 함수를 직접 만들어 쓰지 않고, 이미 만들어진 모듈을 가져와 사용한다. 모듈을 불러오는 방법은 아래의 글을 참고하면 된다. https://olivia-blackcherry.tistory.com/68 [7-4 파이썬] 파이썬 모듈 불러오기, 파일 import하기, module, from~import, import, import as, import *, 모듈 장 파이썬 모듈을 이야기할 때 흔히 자동차에 빗..

[8-2 파이썬 ] 함수 파라미터 여러개, 위치 인자, 키워드 인자, parameter, positional argument, keyword argument

함수의 기본구조와 파라미터, 아규먼트의 차이에 대해 알고 싶다면 지난 게시글을 확인하기를 바란다. https://olivia-blackcherry.tistory.com/69 [8-1 파이썬] 함수, parameter, argument, 함수의 기본구조, 함수 변수, 파라미터와 아규먼트 차이 1. 함수의 기본 구조 def function(): 무언가를 실행하기 또 무언가를 실행하기 그리고 또 실행하기 def 로 함수라는 것을 정의하고 함수의 이름을 정하고 ( ) 괄호를 넣고 : 콜론으로 한 줄 마무리를 olivia-blackcherry.tistory.com 1. 함수의 파라미터가 2개 이상인 경우 크게 어려울 것이 없다. 그냥 콤마 ' , ' 로 연결해주면 된다. 2. Positional argument ..

[8-1 파이썬] 함수, parameter, argument, 함수의 기본구조, 함수 변수, 파라미터와 아규먼트 차이

1. 함수의 기본 구조 def function(): 무언가를 실행하기 또 무언가를 실행하기 그리고 또 실행하기 def 로 함수라는 것을 정의하고 함수의 이름을 정하고 ( ) 괄호를 넣고 : 콜론으로 한 줄 마무리를 해준 다음, 실행할 내용을 차례대로 입력한다. 함수를호출할 때는 아래와 같이 적는다. function() 예) 기본 함수 만들기 - 함수 이름: greet() - 3개의 실행 내용을 적고 - 함수 출력하기 함수가 실행되면 실행 내용이 순서대로 작동한다. 2. 함수에 변수 넣기 def function(a): a로 무언가를 실행하기 또 a로 무언가를 실행하기 그리고 a로 또 실행하기 이번에는 함수에서 ()괄호 안에 변수를 넣는다. 여기서는 a를 변수로 넣었는데, 이 함수 안에서 a가 사용된다는 뜻..

[7-4 파이썬] 파이썬 모듈 불러오기, 파일 import하기, module, from~import, import, import as, import *, 모듈 장점, 모듈 만들기

파이썬 모듈을 이야기할 때 흔히 자동차에 빗대어 이야기한다. 볼보 XC90, 출처: 볼보코리아 볼보 자동차를 만드는 데 필요한 것을 생각해보자. 간단히 생각해보면.. 본체, 유리, 엔진, 바퀴, 전자기기, 소프트웨어 등이 있다. '모듈' 정의 전체(자동차)를 구성하기 위한 각각의 독립적인 부분(본체, 유리, 엔진, 바퀴, 전자기기)을 뜻한다. module뜻: (전체를 이루기 위한) 독립적인 부분 - each of a set of standardized parts or independent units that can be used to construct a more complex structure, such as an item of furniture or a building. 모듈 개념을 쓰는 이유 수많은..

[7-3 파이썬] 키보드 사용팁, 키보드로 한번에 들여쓰기, 들여쓰기 취소하기, 되돌리기, 주석달기

코드를 작성할 때 키보드를 잘 활용하면 시간을 줄일 수 있다. 1. 주석달기 shift나 마우스 이용해서 블록 지정하고 window: Ctrl + / mac: Command + / 2. 들여쓰기 shift나 마우스 이용해서 블록 지정하고 window: tap키 mac: Command + ] or tap키 3. 들여쓰기 취소하기 window: shift + tap키 mac: shift + tap키 또는 Ctrl + 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