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63

[27-5 파이썬] Tkinter 옵션 넣는 방법, Button, Entry 컴포넌트 추가하기

Tkinter 옵션 setting하기 Tkinter에서 옵션을 넣을 수 있는 세 가지 방법이 있다. 1. 클래스에서 객체를 생성할 때, keyword arguments로 필요한 옵션을 지정하는 방법이다. my_label = tkinter.Label(text="Olivia", font =("Arial", 24, "bold")) 2. 객체를 생성하고 나면, 딕셔너리에 key: value를 추가하는 것처럼 [ ] 메소드를 이용하여 옵션을 넣는다. my_label = tkinter.Label(text="Olivia", font =("Arial", 24, "bold")) my_label["text"] = "New text" 3. 객체를 생성한 뒤, config() 메소드를 이용해서 옵션을 추가한다. my_labe..

[27-4 파이썬] **kwargs(Many Keyworded Arguments)

* 는 아스테리스크이다. **kwargs 는 키워드가변인자(many keyworded arguments)를 뜻한다. 가변인자를 사용하면 함수에 전달하고자 하는 값을 좀더 유연하게 작업할 수 있다. kwargs는 keyworded arguments의 줄임말로 콹스라고 불린다. 단어는 내가 원하는 단어를 사용하면 된다. 통상적으로 kwargs 또는 kw를 많이 슨다. 우선, kwargs는 딕셔너리 형태이다. def calculate(**kwars): print(kwars) calculate(add=3, multiply=5, subtract=2) {'add': 3, 'multiply': 5, 'subtract': 2} key, value를 하나씩 뽑아보면 아래와 같다. def calculate(**kwargs..

[27-3 파이썬] *args(Many Positional Arguments), 가변인수, 가변위치인수

* 연산에서 곱하기를 의미하고 한글로 별이라고 불리는 이 기호의 또 다른 이름은 ' 아스테리스크 '이다. 오늘은 아스테리스크를 활용하여 여러 개의 인수를 취할 수 있는 함수를 만들어보겠다. 함수 파라미터 앞에 아스테리스크를 붙이면 함수를 호출할 때 몇 개의 인수라도 허용한다는 것을 뜻한다. * 다음에 붙는 args는 arguments의 약자로 '앍스'라고 불리며 개발자들 사이에 관습적으로 사용되지만 apple, love, book 등 다른 용어를 써도 무방하다. 먼저 *args를 파라미터로 하는 study함수를 만들고, args를 출력해보자. def study(*args): print(args) study(1,2,3,4) 출력값은 튜플형태이다. (1, 2, 3, 4) 튜플 형태이기 때문에 위치 접근도 가..

[27-2 파이썬] 기본값을 갖는 Keyword Arguments

함수 파라미터, 아규먼트에 관한 복습 ---->클릭 Positional Arguments 위치 인자 def my_function(a, b, c): pass my_function(10, 1, 3) a=10, b=1, c=3의 의미이다. Keyword Arguments 키워드 인자 def my_function(a, b, c): pass my_function(c=3, b=1, a=10) a=10, b=1, c=3의 의미이다. 그런데 함수를 호출할 때마다, 매번 키워드 인자를 적는다면 번거롭다. 파이썬에서는 기본 값을 갖는 인수를 만들어서 이 문제를 해결한다. 함수 선언을 바꾸는 것이다. Arguments with default values def my_function(a=10, b=1, c=3): pass m..

[27-1 파이썬] GUI, Tkinter

Graphical User Interface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GUI 구이, 지유아이 1990년대에는 컴퓨터와 대화하기 위해 명령어를 문자로 입력해야 했다. 지금의 리눅스 운영체제를 떠올리거나, 콘솔창, 프롬프트 창을 생각하면 된다. 그런데 구이가 등장하면서부터 사용자와 컴퓨터의 대화가 편해졌다. 원하는 곳에 마우스로 가져다 대고, 클릭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우리가 쓰는 마이크로프트사의 윈도우 운영체제 역시 GUI 기반이다. 그런데 GUI의 역사를 들여다보면, 마이크로소프트사보다 애플이 먼저 GUI를 만들었고, 그보다 먼저, 제록스 파크(지적 재산권 검색 센터)에서 가장 먼저 GUI를 만들었다고 한다. 이와 관련된 영화가 있다. GUI 역사에 대해 더 알고싶다면 보기를 추천한다! Pirat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