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49

[2-3 파이썬] F-string, 데이터형과 상관없이 출력하기, 소수점 표시 :.2f, {:.2f}, format()

student = "Olivia" height = 162 insight= True 라는 변수 3개가 있다. 위 변수의 type을 각각 출력해보면 String, int, boolean형이다. 이런 경우 서로 다른 데이터타입을 출력하려면 모두 str타입으로 바꿔주는 번거로운 일을 해야한다.. print("이렇게 출력되겠죠??? 너무 힘들죠..." + student +"의 키는 " str(height) + "입니다. 이것은 " + str(insight) + "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f-String을 사용할 것입니다. f-string은 출력하고자하는 문장을 모두 string타입으로 변환해줘서 매우매우 편리합니다. 먼저 출력하고자 하는 문장을 f"다음에 써줍니다. 그리고 문장이 끝나면 "로 닫아줍니다. 띄어쓰기..

[2-2 파이썬] 수학 연산 +, -, *, /, **, round(), 반올림, 버림, 정수로 바꾸기, //

1. 수학연산자 +, -, *, /, ** + 더하기 - 빼기 이 두 가지는 우리가 아는 수학 부호와 동일하다. 파이썬에서 곱하기는 *로 표시하고 나누기는 /로 표시한다. 나누기에서 알아야 하는 것은 출력값의 type이 float(실수)형이라는 것이다.' **는 숫자의 거듭제곱을 표현한다. 2**4 이면 2의 4제곱을 뜻한다 값은 16이다. 2. 연산의 우선순위 여러 개의 연산이 섞여있을 때는 연산의 우선순위를 준다. PEMDAS +LR 팬다슬라 규칙을 소개한다. 아래의 순서대로 하면된다. 1등: Parentheses 괄호 () 2등: Exponents 지수 ** 3등: Multiplication 곱셈 * = Division 나눗셈 / 4등: Addition 덧셈+ = Substraction 뺄셈 - 5..

[2-1 파이썬] len(), type(), 함수, str(), float(), boolean()

1. 함수? 함수의 예를 보자. f(x) = x+2라는 함수가 있다. 입력값으로 5를 주면 f(5)=5+2=7이니 7이 출력된다. 함수라는 표현이 어렵다면.. 함수를 믹서기라고 생각해보자. 이 믹서기에 사과를 넣어 갈면 사과주스가 된다. 오렌지를 넣어 갈면 오렌지 주스가 되고 당근을 첨가하면 당근오렌지 주스가 된다. 믹서기는 들어가는 재료(입력값)을 가는 과정(함수식)을 통해 새로운음식(출력값)으로 바꿔주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만약에 들어가는 재료로 돌멩이를 넣으면 어떻게 될까? 믹서기는 고장나버리고 말것이다. 컴퓨터에서 함수도 똑같다. 맞지 않은 입력값을 넣으면 프로그래밍 처리 중에 에러가 난다. 2. len() len() 함수를 살펴보자. len()는 데이터를 넣으면 그 길이를 숫자로 반환해주는 함..

[1-6 파이썬] 변수, variables

1. 변수의 뜻 변수의 뜻을 먼저 들여다봅시다. 한글로는 변할 수 있는 수 영어로는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는 수 등으로 해석할 수 있겠네요. 결국 변수라는 것은 어떠한 값을 내가 임시로 지정해두는 것을 말합니다. 2. 변수를 지정하면 편리하다. 예를 들어 학교에서 급식시간에 친구들에게 반찬을 나눠주는 일을 한다면, 그 친구를 부를 때 "점심 먹을 때 친구들에게 배식 도와주는 사람 나오자!" 라는 식으로 말하는 것보다 '급식도우미'라는 이름을 붙여주고, "급식도우미 나오자"라고 하면, 그 과정이 간결해지고 뜻이 명확해집니다. 프로그램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254625라는 숫자가 있지만 이것을 a라는 변수에 저장한다면 a=254625 앞으로는 a를 출력하면 254625가 나오는 거죠. 이런 간단한 예제에서는..